개념정리2017. 3. 22. 20:58

유동아이피


: 만약 A라는 컴퓨터가 켜지면 222.109.61.42 라는 IP를 주었다가 컴퓨터를 끄게되면 이 222.109.61.42 라는 IP를 회수한다.

그리고 B라는 컴퓨터를 켜게되서 필요하다고 요청을하면 B라는 컴퓨터에게 222.109.61.42 라는 IP를 할당시켜준다.

그 상태에서 만약 A라는 컴퓨터가 IP를 요청하면 222.109.61.45 라는 IP를 할당시켜준다.


       -처음-

       A:222.109.61.42 (컴퓨터가 켜짐=IP를 요청함)

       B: n/a (없음) (IP를 요청하지 않음)

       -중간1-

       A: n/a (컴퓨터를 끔=IP가 필요없어짐)

       B: n/a (없음)

       -중간2-

       A: n/a (여전히 IP가 필요업음)

       B:222.109.61.42 (컴퓨터를 켬=IP를 요청함)

       -끝-

       A:222.109.61.45 (IP를 요청함)

       B:222.109.61.42 (계속해서 IP를 사용하는 상태)

       

유동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IP(A)를 회수하고, 어느 컴퓨터든 IP가 필요하다는 신호가 오면 IP(A)를 할당해준다.

그러므로 IP가 유동적으로 계속해서 바뀌는 것이다.

'개념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호스팅과 클라우드  (0) 2017.03.22
DDNS (Dynamic Domain Name Service)  (0) 2017.03.22
포트포워딩  (0) 2017.03.22
리버싱  (0) 2017.03.22
핸들  (0) 2017.03.22
Posted by EL2A